게임보감: 던파 서든 블소 거상 |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대만 |
![]() |
|
제룡림 4~22 |
메마른우물 산적소굴 흑룡채 진지 파헤쳐진 무덤 지하갱도 환야의숲 비밀가공소 마물굴 |
호수저장고 절벽기지 흑룡채본거지 해안동굴 충각단함대지부 숨겨진환마성지 잠식된흑창족부락 | |
격전의흑음림 침묵의해적선 흑룡교지하감옥 [필드] | |
대사막 21~36 |
사당의지하 서낭당나무동굴 탁기굴 거암유적지 마영강군발굴지 황사굴 풍사굴 울부짖는사원 |
오락당투기장 나류사원 그림자석굴 번와족부락 흑창족연회장 투신의제단 복곤패굴 그림자납골당 | |
토굴무덤 천조의둥지 오락당암굴 골면족부락굴 그림자본거지 희생의무덤 [필드] 지옥도 | |
수월평원 36~45 |
맹수굴 항아리단술도가 앙시족본거지 낙원사원 제국군수송대 홍돈족소굴 석괴굴 |
[폭풍의바다뱀보급기지] [어둠의핏빛상어항] 바다뱀보급기지 핏빛상어항 나선의미궁 무신의탑1 | |
무신의탑2 어인족소굴 수와궁 거미둥지 지하창고 제국군법기부대 경천맹동쪽기지 영린족유적지 | |
백청산맥 50~ |
풍년마을디펜스 탁마굴 부활의제단 설인의동굴 귀문관의악몽 분열의미궁 얼음창고 비탄의설옥궁 |
밤의바람평야 부유제단 파괴된강류시 삼천왕굴 흑룡교은신처 백청파본산 추앙카빙굴 설녀굴 | |
마적소굴 무지개호수 녹림도주둔지 뱀비늘계곡 | |
부유도 영석초원 |
수월평원 - 거미둥지 (최상급던전, 44~46레벨) |
||||||||||||
맵 위치:![]() |
||||||||||||
드롭 아이템:
|
||||||||||||
던전공략: | ||||||||||||
삼점거미 ![]() 공격 패턴 - 삼점거미의 공격 패턴은 거미줄, 점프 광역 공격, 앞다리 공격, 독침 찌르기 총 4가지이다. - 삼점거미의 모든 공격은 막기, 반격으로 방어할 수 있다. - 공격 순서는 [거미줄] - [거미줄] - [점프(광역)] - [앞다리 공격] - [독침 찌르기] - [앞다리 공격] - [독침 찌르기] 순서로한다. - 이 패턴을 이 순서대로 계속 반복한다. 종종 독침찌르기 후 앞다리 공격을 생략하기도 한다. - 앞다리 공격은 예비모션이 없이 매우 빠른 속도로 공격하므로 점프, 독침찌르기 뒤 평타 1~2회를 한 뒤에 막는 것이 좋다. - 독침 공격은 막기, 반격 시에도 43레벨 기준 400정도의 타격이 들어오므로 동작 시 옆으로 돌아 회피하거나 완전히 방어하는 것을 추천한다. - 만약 피해를 완전히 무효화 시킬 자신이 없다면 그냥 약간의 대미지를 감수하는 것이 좋다. - 피격 시 중독(초당 600가량, 다른 독과 중첩가능)과 더불어 상당한 양의 타격(약 3000이상)을 받기 때문이다. - 거미줄은 원거리 공격기로 공격과 동시에 착탄지점에 거미줄을 퍼트려 이동속도 감소 효과를 갖는다. - 또한 주변에 소량의 1회성 대미지를 준다. 공략 방법 - 삼점거미는 시작과 동시에 맹독거미 2마리를 소환한다. - 맹독거미는 바닥에 독지대를 만들어 공격하는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독지대는 1분정도의 지속시간을 갖는듯 하다. * 삼점거미가 독지대를 생성하지는 않는다. 종종 삼점거미 바로 아래에 독지대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맹독거미의 소행이다. 맹독거미는 독지대를 약간 먼 지역이라도 생성할 수 있다. - 초반에 맹독거미들이 거미줄을 타고 내려오는동안 삼점거미를 방의 구석으로 빼고(이때 입구반대쪽 거미줄 쪽으로 빼는 것을 추천) 탱커가 잡고있는 사이 상태이상기로 공격을 차단하며 빠르게 잡는 것을 권장한다. - 처음에 맹독거미 2마리를 빠르게 처리하고 삼점거미의 체력을 50%정도 빼면 추가로 맹독거미를 두마리 더 소환한다. - 이때 맹독거미에게 상태이상을 걸어 탱커를 따라가지 못하게 막는다. - 탱커는 자리를 빠르게 옮겨 맹독거미와 거리를 두고 처음과 같은 방법으로 탱커를 제외한 나머지 파티원들이 맹독거미를 처리하거나 원거리 기공사나 소환사가 드리블하며 파티원들쪽으로 독지대를 만들지 않게 해야한다. - 점프공격과 소환몹의 독지대를 잘 피해야 공략이 가능하다. -- [ 영상보기 ] -- |
||||||||||||
영남거미![]() 기본 전투 패턴 - 염낭거미의 공격 패턴은 독지대 형성, 점프광역 공격, 앞다리 공격, 독침찌르기이다. - 염낭거미의 독지대 형성을 제외한 모든 공격은 막기, 반격으로 방어할 수 있다. - 공격 순서는 삼점거미와 같으나 삼점거미의 거미줄 대신 독지대 형성을 사용한다. - 독지대 형성을 사용할 때는 배부분이 녹색으로 빛나면서 몸을 부르르 떤다. - 독은 중첩되므로 자세를 취한다면 바로 현 위치에서 빠른 속도로 이탈하는 것이 매우 현명한 행동이다. - 독지대 형성은 약간 떨어져 있는 위치에도 형성할 수 있다. 기본 공략 방법 - 염낭거미는 시작과 동시에 은사거미 2마리를 소환한다. - 삼점거미와 달리 염낭거미는 거미줄을 뿜지 않는다. 거미줄이 형성된다면 이는 은사거미의 소행이다. - 은사거미들이 거미줄을 타고 내려오는동안 염낭거미를 방의 구석으로 뺀다. - 그리고 삼점거미에서 맹독거미를 처리했던 방식처럼 은사거미를 처리 한다. - 염낭거미는 전투 중 은사거미 두마리가 죽으면 바로 알을 낳는다. - 알을 낳는 도중에 염낭거미는 공격을 하지 않는다. - 이 알이 부화하면 체력이 약 1만 이상인 다량의 새끼거미가 나타난다. - 알은 배 부분이 아닌 입 쪽에서 형성되므로 최대한 빠르게 알을 부수는 것이 좋다. - 염낭거미는 독지대를 수시로 형성하기에 조금씩 위치를 바꿔가면서 전투를 하는 것이 좋다. -- [ 영상보기 ] -- |
||||||||||||
팔독모![]() 페이즈 공통 어그로 대상 변경시 전멸기 발동 페이즈1 일타 > 위 아래 > 밀치기 일정 확률로 패턴 사이 마다 거미줄 밀치기에 타격 당하면 점프추가 공중[1](37~38만) 공중으로 올라가는 모션 중 뒷 다리가 들리는 순간 화염방사기로 알 제거 너무 근접할시 그로기 포효로 화염방사기를 놓치게 되니 일정거리 유지후 바로 진입 페이즈2 약타 > 위아래 > 전멸기(회피/합격) > 휘돌리기 > 거미줄 > 돌진 > 점프(가장 먼 대상) 점프 타격 시(밀치기 > 위 아래 패턴추가) * 간혹 점프후 바로 전멸기를 쓰는 경우가 있다. 공중[2](25~26만) 공중[1]과 동일 페이즈3 약타 > 위아래 > 전멸기(회피/합격) > 휘돌리기 > 거미줄 > 돌진 > 흡공(가장 먼 대상) 돌진(이후 어그로 대상이 근접해 있으면 밀치기 패턴추가) 흡공 당하는 도중 합격기 어글 대상이 흡공 당할 경우 합격기 불가, 얼음꽃으로 대응 공중[3](14~15만) 공중[1]과 동일 페이즈4 페이즈3 패턴과 같음 일정 확률로 알 생성 추가 -- [ 영상보기 ] -- |
퍼가실때 출처를 밝혀주시면 고맙겟습니다. |
오류지적, 정보추가 는 dfbb125@gmail.com 으로 보내주세요. 웹주소도 추가하여 보내주시면 고맙겠습니다.. |